본문 바로가기
진료과별/소아건강검진

발달성 고관절 이형성증 (Developmental Dysplasia of the Hip)

by hpmd_ 2020. 7. 7.
반응형

과거에 선천성 고관절 탈구 (congenital dislocation of the hip)으로 불리었다고 발달성 고관절 이형성증 (DDH)로 명칭이 변경. 

질환의 spectrum은 mild dysplasia부터 frank dislocation까지 다양하다. 

 

 

원인 & 위험요인

- 정확한 원인은 아직 미상

- 호르몬: 여아에서 상대적으로 더 흔함(80%). 태아상태일 때 여아가 Relaxin과 같은 ligamentous laxity의 영향을 주는 모체의 호르몬에 더 영향을 잘 받기 때문으로 생각

- 기계적 요인: Breech position (태아의 머리가 위로) 일때 더 흔하게 발생. 

- 유전적 요인: 가족력(12-33%)이 연관이 있는 것으로 확인

 

- 발생 위험을 증가 시키는 요인들:  자궁내 공간을 좁게 만들거나 태아의 움직임에 제한을 유발하는 모든 요인들 

1) 양수과소증 

2) 과체중아 

3) 첫번째 임신 

 

Epidemiology

- 고관절의 불안정성은 100명에서 250명당 한명 꼴로 나타난다.

- 실제로 탈구가 되는 환자는 1000명당 1명 꼴이다. 

- 포대기로 아기를 업고 다니는 우리나라나 아프리카 문화권에서 발생이 덜하다 (고관절의 굴곡, 외전 상태가 고관절의 안정성과 acetabulum molding에 도움이 됨) 

 

임상증상

1) 신생아 

- 신생아에서는 무증상이기 때문에 만드시 신체검진을 통해 확인이 필요하다.

- 검사는 따뜻한 환경에서 옷을 벗기고 바로 눕힌 상태에서 진행한다. 

- Barlow and Ortolani maneuver

- Barlow maneuver: 고관절 탈구를 유발하는 검사

- Ortolani test: 탈구 된 고관절을 정복(reduction) 시키는 검사. 엄지와 검지로 허벅지를 잡고 4번째 5번째 손가락으로 greater trochanter를 들어 올리면서 다리를 벌려 정복시킨다. 

 

2) 영아 

- 생후 2-3개월에 접어들면서 관절 주변 조직들이 타이트해지기 시작하면서 Ortolani & Barlow test는 진단 효용성이 떨어지게 된다. 

- 영아에서는 고관절의 외전 제한, 허벅지의 길이의 감소, proximal location of the greater trochanter, 엉덩이 또는 허벅지 주름의 비대칭성, 고관절의 전반적인 위치로 DDH를 의심한다. 

- 그 중 고관절의 외전 제한이 이 연령대에서는 가장 신뢰성 있는 검진 방법이다. 

양측 허벅지 주름의 비대칭성 (Nelson Textbook of Pediatrics, 21st ed.) 
DDH가 있는 우측 고관절에서의 길이차이 (Nelson Textbook of Pediatrics, 21st ed.)

 

3) 보행가능한 나이대 

- 이 나이대에서 처음 진단되는 DDH 환아들은 보통 다리를 절거나 뒤뚱거리면서 걷거나 다리길이 차이가 흔히 발견된다.

- Trendelenburg sign 

 

진단적 검사

1) 초음파 

- 유럽에서는 초음파의 루틴 사용이 아직은 논란. 미국에서는 모든 신생아가 DDH에 대한 육안적 및 신체적인 검진을 받고 이상이 있는 환자는 초음파로 추가적인 검사를 하도록 권고. 

- Breech position으로 출생했거나, 가족력이 있거나 영아 사경 등의 위험인자가 있는 경우에는 신체검진 이상 유무와 관계없이 초음파 검사를 해보는 것을 권고. 

- 생후 4주 전에는 위양성률이 높기 때문에 신체검진상 DDH가 아주 강하게 의심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생후 4주 이후에 초음파를 하는 것이 좋다. 

- alpha angle이 60도 미만인 경우 DDH를 시사한다. 

2) 엑스레이 

- 엑스레이 검사는 proximal femoral epiphysis가 골화되기 시작하는 생후 4-6개월경에 활용할 수 있다. 

- Hilgenreiner's line: 양측 triradiate cartilage의 윗쪽을 평행하게 잇는 선

- Perkins line: roof of acetabulum의 most lateral ossified margin과 교차하는 수직선

- Shenton's line: curved line drawn from the medial aspect of the femoral neck to the lower border of the superior pubic ramus

- 정상 엑스레이에서는 Hilgenreiner's line과 Perkins line이 교차하여 만드는 medial lower quadrant에 femoral head가 위치해야 한다. 

- 정상에서는 Shenton's line이 끊어짐 없이 연결되는 모양인데 DDH에서는 그렇지 않다. 

 

치료

1) 생후 6개월 이하의 영아 및 신생아 

- 파블릭 보장구 (Pavlic harness)를 진단 후 가능한 조속히 착용. 

- 파블릭 보장구 착용 후 3-4주 후 대부분의 고관절이 정상화.

- 6주간 사용 후 75% 케이스에서 고관절 불안정성이 해소

- 생후 6개월 이후의 환아에서는 파블릭 장구 실패율이 50% 이상 (아기의 움직임이 더 활발해지고 기어다니기 시작하기 때문)

- 너무 과도한 hip flexion은 femoral nerve palsy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피해야 한다. 

- 보장구 착용 3-4주 뒤에도 고관절 정복이 되지 않으면 착용을 중단하고 다른 치료 방법을 선택해야 한다. 

 

2) 생후 6개월에서 2세 사이 

- 비교적 늦게 진단 받은 이 나이 그룹대의 환자들은 수술방에서 전신마취 후 closed reduction을 시행한다. 

- reduction 시행 후 arthrogram으로 위치를 확인 후 석고 cast로 12주간 고정. 

- 이후 고관절 안정성이 형성 되지 않는 다면 open reduction surgery를 해야한다. 

 

3) 2세 이상

- 이 나에대에는 전신마취하 open reduction을 시행한다. 

 

합병증

- 가장 흔히 생기는 합병증은 avascular necrosis of femoral epiphysis이다. 

- Reduction시 과한 압력이 들어가거나 너무 과한 외전을 하게 되면 epiphyseal vessel이 막혀 infarction이 발생. 이후 revascularization이 되면서 비정상적인 성장이 발생. 

 

반응형